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눈충혈 원인과 치료법|알레르기부터 안구질환까지 체크리스트

by 헬씨펫 2025. 4. 3.
반응형

우리 강아지의 눈이 갑자기 빨갛게 충혈됐다면, 단순히 피곤해서 생긴 걸까요? 반려견의 눈은 사람보다 훨씬 예민하고 민감해서 작은 자극에도 쉽게 염증이나 충혈이 생깁니다. 하지만 어떤 경우는 치료가 꼭 필요한 질환의 초기 증상일 수도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강아지 눈충혈의 대표적인 원인부터, 가정에서의 응급 대처법, 동물병원 진료 기준까지 자세히 정리해볼게요.

 

강아지 눈충혈 원인과 치료법

 

강아지 눈충혈, 이런 증상이 동반되면 주의!

 

단순한 눈 피로 외에도 아래와 같은 증상이 함께 보인다면 눈 질환 또는 전신 질환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 눈곱이 많이 낌 (특히 노란색/녹색)
  • 눈을 자주 비비거나 벽에 문지름
  • 눈을 제대로 뜨지 못하고 찡그림
  • 눈물이 과도하게 흐름
  • 시선이 흔들리거나 멍한 느낌

▲ 단순 충혈이 아닌 염증이나 질병의 신호일 수 있어요.

 

눈충혈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원인

 

  1. 결막염 - 가장 흔한 원인으로, 먼지·꽃가루·세균 감염 등으로 발생
  2. 알레르기 - 음식, 진드기, 풀 등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눈이 붓고 충혈
  3. 각막 궤양 또는 상처 - 강아지가 스스로 긁거나 이물질로 인해 각막 손상
  4. 안압 상승(녹내장) - 시급한 치료가 필요한 질환, 눈이 충혈되고 단단하게 만져짐
  5. 포도막염, 백내장 등 - 노령견에게 흔하며, 충혈과 시력 저하 동반

집에서 할 수 있는 응급 대처법

 

  • 눈 주위 분비물은 깨끗한 물티슈로 닦아주세요.
  • 보호 콘을 씌워 눈을 긁지 못하게 합니다.
  • 실내 먼지나 향, 에어컨 바람 등을 최소화합니다.
  • 간식, 사료 변경을 중단해 알레르기 유발 확인

▲ 응급 조치는 가능하지만, 증상이 지속되면 반드시 진료를 받아야 해요.

 

동물병원에서는 어떻게 치료할까요?

 

동물병원에서는 세극등 검사, 플루레신 검사 등을 통해 눈의 상처나 염증 여부를 확인합니다.

  1. 결막염 → 항생제 점안제, 소염제 사용
  2. 알레르기 → 항히스타민제 또는 스테로이드 투여
  3. 각막 손상 → 보호용 렌즈, 항생제 및 상처 치유 연고
  4. 녹내장·백내장 → 약물 또는 수술적 처치

증상에 따라 1~2주 내 호전되기도 하지만, 만성화되면 시력 저하까지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진단이 중요합니다.

글을 마치며

 

강아지의 눈충혈은 간단한 자극부터 심각한 질환까지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단순 충혈이라고 방치하지 말고, 반복된다면 꼭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세요.

우리 아이가 아프지 않고, 밝고 건강한 눈빛을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도록 세심한 관찰이 필요해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남겨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
주변 반려인 분들에게도 공유해 주세요!

반응형